본문 바로가기
02_양봉이가 공부하는 보조지표

내 맘대로 주식 차트 읽기 : 캔들로 매매 기준 잡기

by 양봉이 2025. 3. 10.
728x90

캔들의 종류 

양봉,음봉,도지형,윗꼬리캔들,아래꼬리캔들
순서대로 양봉 ,음봉, 도지,( 윗,아래꼬리 달린) 양봉 음봉

 

     캔들의 기본 개념

 

양봉은 매수세가 강하다는 뜻이고,
음봉은 매도세가 강하다는 의미다.

도지형은 매수세와 매도세가 비슷한 경우고,
윗꼬리, 아래꼬리 캔들은 말 그대로 꼬리 방향에 따라 해석이 다르다.
(순서대로 보면 양봉, 음봉, 도지, 그리고 꼬리가 달린 양봉·음봉)

이런 기본 개념은 그냥 그림처럼 생긴 캔들 모양일 뿐이고,
실전에서 그대로 적용하기엔 어렵다.
그래서 나는 이걸 내 멋대로 해석해서 매매 기준으로 써보려 한다.

캔들은 단순하지만 복잡하다

한마디로,
크게 보면 간단한데 자세히 보면 복잡하다.

같은 종목이라도
월봉, 주봉, 일봉, 분봉으로 보면 느낌이 완전히 다르다.

분봉이 모여 일봉이 되고
일봉이 모여 주봉,
주봉이 모여 월봉이 된다.

즉, 어떤 시간 단위의 캔들 차트를 볼지는
자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기준봉을 설정하고 분해해서 본다

나는 일봉에서 장대양봉이 나오면 그걸 기준봉으로 정하고
그 기준봉을 쪼개서 (분봉처럼) 해석해본다.

기준봉 안에서
어디가 지지 자리일지,
어디가 저항 자리일지를 미리 예측해서
그다음날 매수 전략을 세우는 방식이다.

양봉,음봉이 캔들이 분봉에서 쪼개서 보면 어떻게 움직이는지
캔들 분해

캔들을 분해해서 보면 대충 이런 느낌으로 움직인 걸 확인할 수 있다 

    매수 & 매도 전략 - 기준봉 해체해서 보는 법

기준봉캔들을 쪼개서 저항이나 , 지지 위치를 확인하기

 

기준캔들(기준봉)이 발생한 후에 시가의 위치에 따라 매수전략을 세운다.

(시가가 갭상승 1, 2번

시가가 종가에서 시작하거나 갭하락 시작하면 3번

시가가 갭하락 4,5번 

빗각으로 그려둔 화살표 선을 추세선이라 생각하고)

 

지지가 예상되는 자리에서 매수하고

저항이 예상되는 자리에서 매도를 한다.

 


밑에 이미지에서 보이듯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시가 위치는
2번과 3번 사이.
(너무 갭상도, 너무 갭하락도 아닌 구간)

그다음 날 캔들의 위치를 보고,
그날 전략을 짠다.

그다음날 캔들의 위치에 따라 전략을 세울수잇음
그다음날 시가가 갭상승 햇을떄

 

작은 프레임에서

저항을 받았던 노란색 부분과

지지를 받았던 초록색 부분에서

 매수한다. 

그전에 매수자리에서 또 다른 계획을 세운다

분할 매수 할지 한자리에서 매수할지 

 

초록색에서 매수하면 노란색선은 저항이 될 수 있으니

일부는 팔지 아니면 그냥 계속 들고 갈지

손절은 어디서 할지, 익절은 어디서 할지

 

결정은 그때그때 내 맘대로

- 내 방식대로 캔들매매 하기 끝 - 


< 양봉이의 기준봉 매매 기준 >

 

기준봉을 간단하게 절반 또는 마음대로 쪼개서 매매하는 방법

 

초보자분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준봉을 3등분 또는 4등분으로 나누는 방식을 활용해
제가 실제로 백테스팅해보는 과정을 소개드릴 예정입니다.

단순히 기준봉만 보는 것이 아니라,
매수/매도/손절 전략을 실전 차트를 통해 
직접 확인하고 전략화하는 과정을 함께 담아보려 합니다.


중요한 건 ‘내 기준’이 있다는 것

이 방식이 무조건 상승하는 구간이라는 얘기는 아니다.

다만 내 기준에서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자리에서
매수를 시도하는 거다.

그리고 그 기준은 오직 나만이 정할 수 있다.


앞으로 해볼 것

앞으로는
기준봉이 나온 종목을 관찰해서
차트를 기록하고 공유할 생각이다.

이걸 참고하면서
각자 자기만의 기준을 만들어서
매매 기준으로 활용해보길 바란다.


 마무리

다시 말하지만,
내가 한 기준이 정답은 아니고
각자에게 맞는 방식을 찾는 게 핵심이다.

그래서 나는
"내 기준으로 매매하기”를 계속 실험 중이다.

여기까지 읽어줬다면,
당신도 분명 자기 기준을 세울 준비가 된 사람일지도 모른다.

성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