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감자’가 낯선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드리면, 감자는 기업이 자본금을 줄이기 위해 주식을 줄이는 구조조정 방식입니다.
👉 자세한 개념과 감자 방식은 이전 글에서 확인하세요!
🧭 감자, 개념만으로는 부족하다면?
이전 글에서 다뤘던 것처럼 ‘감자’는 기업이 자본금을 줄이는 구조조정의 일환이에요.
하지만 실제로 어떤 기업들이 감자를 했고, 그 결과 주가는 어떻게 움직였는지 궁금하신 분들도 많을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 유상감자와 무상감자를 각각 실행한 대표 종목들을 소개하고
👉 감자 이후 주가 흐름까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참고: 차트는 하단에 이미지로 첨부할게요.)
✅ 유상감자 사례: 주식 줄이고 돈 돌려주는 구조
📌 상상인증권 (구브릿지 증권)

최초 제출일 이후 급등 이후 제출일 종가 위에 주가 형성
신주 상장날 가격 급등.
📌웅진씽크빅

감자 결정일 다음날 급등 이후 결정일 종가보다 하락 후 다시 상승, 감자결정일 기준 큰 차이 없이 주가 형성
✅ 무상감자 사례: 주식만 줄이고 보상은 없음
📌비엘팜텍
최초 제출일 이후 급락 신주상장날에만 상승 이후 다시 보합으로 몇주후에 급등.
📌에어부산
결정일 다음날부터 계속 하락.
04|📌 감자 종목, 이렇게 보면 돼요
🔎 감자 발표가 났다고 무조건 악재도, 호재도 아니에요.
투자자가 체크해야 할 포인트는 아래 3가지예요:
체크포인트 | 왜 중요한가요? |
① 감자의 목적 | 상장 유지 vs 재무 개선인지에 따라 시장 반응 달라요 |
② 감자 후 계획 | 무상증자, 유상증자, M&A 등 연계 이슈가 있는지 |
③ 주가 흐름 & 거래량 | 실제 수급 변화가 심리 반등의 신호가 되기도 해요 |
💬 마무리 한마디
저는 예전에 보유한 종목이 장 마감 후 갑작스럽게 감자 공시가 나오면서,
패닉 매도로 손실을 본 적이 있어요.
그때 느꼈던 건, "아니다 싶을 땐 빠르게 손절하는 것”이에요.
주식에서는 *뉴스의 ‘배경’과 ‘후속 대응’*을 함께 보고 판단해야 하며,
감자 역시 무작정 피할 것이 아니라 전후 맥락을 파악하는 게 핵심입니다.
📌 오늘 소개한 사례들처럼, 감자 종목이 보인다면 단순히 ‘악재’로만 보지 말고
그 이후의 흐름까지 함께 체크해 보세요.
728x90
'03_양봉이의 차트 다시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봉 매매 #3-3] – ‘양봉이 조건’ 실전 복기(엔켐/더즌) (0) | 2025.04.26 |
---|---|
[기준봉 매매 #3-2] – ‘양봉이 조건’ 실전 복기(엔켐/더즌/위너스) (1) | 2025.04.25 |
무상증자·유상증자 발표 이후 주가 흐름은 어떻게 될까? (1) | 2025.04.17 |
대봉엘에스 – 양봉이의 조건검색식으로 본 매수전략 (1) | 2025.04.13 |
고려아연 – 양봉이의 조건검색식으로 본 기준봉 4등분 매수전략 (2)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