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이유는 VI(변동성 완화장치) 때문입니다
주식 거래를 하다 보면, 갑자기 호가창이 멈춘 것처럼 느껴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내 주문이 왜 안 들어가지?”, “시장이 멈춘 건가?”
이런 당황스러운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
그 원인은 바로 VI (변동성 완화장치) 때문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호가 멈춤 현상’의 핵심 원인인 VI 제도에 대해 쉽고 정확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VI란 무엇인가요?
**VI(Volatility Interruption)**는 주가가 짧은 시간 안에 너무 많이 오르거나 떨어졌을 때
자동으로 거래를 잠시 멈추는 **‘안전장치’**입니다.
마치 자동차가 갑자기 튀어나가는 걸 막는 급제동 시스템처럼,
시장의 과열을 식히고 투자자들이 판단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죠.
🔍 VI는 왜 필요한가요?
- 순간적으로 주가가 급변할 때
- 투기성 거래나 오주문으로 시장이 흔들릴 때
- 투자자들이 제대로 상황을 인식할 시간이 필요할 때
이럴 때 VI가 발동됩니다.
특정 종목의 거래를 2분간 일시 정지시키고,
이 시간 동안은 ‘단일가 매매’ 방식으로 주문을 받습니다.
VI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어요
✅ 1. 동적 VI (Dynamic VI)
- 기준: 직전 체결가에서 일정 비율 이상 급등/급락
- 예시:
A 종목이 10,000원이었는데,
단숨에 10,600원(6% 상승)이나 9,400원(6% 하락)으로 체결되면 동적 VI 발동 - 특징: ‘갑작스러운’ 가격 움직임에 반응
- 적용 시간: 접속매매, 종가 단일가, 시간 외 단일가 등
✅ 2. 정적 VI (Static VI)
- 기준: 전일 종가 대비 ±10% 이상 움직일 경우
- 예시:
B 종목이 전일 50,000원이었는데,
장중에 55,000원(상승)이나 45,000원(하락)에 도달하면 정적 VI 발동 - 특징: **‘전체 흐름에서의 과도한 변동’**에 반응
- 적용 시간: 접속매매, 시가·종가 단일가
💡 VI 발동 시, 호가창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 일반 매매 → 단일가 매매(2분간) 전환
- 이때는 실시간 체결되지 않음, 주문만 접수
- 2분 후 매수/매도 주문량을 고려해 **1개의 가격(단일가)**로 일괄 체결
- 이후 다시 일반 거래 방식으로 복귀
📊 종목별 VI 발동 기준 요약
종목 구분 | 동적 VI 기준 | 정적 VI 기준 |
KOSPI200 | ±3% | ±10% |
일반/코스닥 | ±6% | ±10% |
ETF/ETN (기본지수) | ±3% | ±10% |
ETF/ETN (레버리지 등) | ±6% | ±10% |
※ 동적 VI 기준은 종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시가 전에는 기준 가격이 조금 다릅니다.
🧠 투자 팁: VI 직전 호가 흐름, 경험에서 얻은 교훈
VI 발동 직전의 호가 흐름은 예사롭지 않은 신호일 때가 많습니다.
실제로 저 역시 과거에 VI 발동 직전에 호가창이 급격히 변하는 모습을 보고,
미리 매도 주문을 걸어두어 손실을 줄인 경험이 있습니다. 그 당시엔 겁도 났지만, 막상 VI 이후 주가가 더 크게 흔들리는 걸 보면서 ‘일시 멈춤’의 의미를 체감할 수 있었죠.
그래서 요즘은 VI 근처 호가에서 분할 매도 전략을 세우거나,
VI 종료 후 시장의 반응을 보고 매수·매도 여부를 결정하는 편입니다.
물론 이 전략이 항상 통하는 건 아니며, 오히려 조급한 매매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충분한 경험과 훈련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VI는 투자자들에게 생각할 시간을 주는 안전벨트라는 점을 잊지 않는 것입니다.
갑작스러운 주가 변동에 휘둘리기보다는, 호흡을 가다듬고 다시 전략을 점검하는 기회로 활용해 보세요.
⚠️ 참고로, 어떤 전략을 택하든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의 몫입니다. 자신의 투자 원칙에 따라 냉철하게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결론: VI는 ‘호가 멈춤’이 아닌, ‘판단의 기회’입니다
호가창이 멈춘다고 당황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건 오히려 **“지금 이 종목, 뭔가 이상하다”**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VI는 우리 투자자의 판단력을 지켜주는 안전벨트 같은 존재입니다.
시장이 잠시 멈춘 그 시간 동안,
내 전략과 원칙을 되돌아볼 수 있는 여유를 만들어주는 것이죠.
📎 관련 정보 더 보기
- 한국거래소 VI 안내: https://www.krx.co.kr/ → ‘시장감시’ 메뉴 참고
- 시장 전체에 적용되는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설명 글: [이전 글 보러 가기]
'01_양봉이의 주식 기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에서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 VI(변동성 완화장치)는 뭘까요? (1) | 2025.04.07 |
---|---|
환율 변동 ,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초보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3) | 2025.04.04 |
미국 주식 vs 국내 주식: 초보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8가지 차이점 (3) | 2025.04.03 |
초보 투자자를 위한 달러 투자 가이드: 성공 투자를 위한 핵심 정보 총정리 (1) | 2025.04.02 |
한국에서는 위험 종목 알림 시스템이 있다? (3) | 2025.04.01 |